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엑셀109

엑셀 함수 COLUMN 참조한 영역의 열 번호를 구해주는 COLUMN 함수입니다. 이 함수는 참조한 영역의 열이 몇 번째 열인지 숫자로 나타내줍니다. =COLUMN(E2) E2 의 위치는 5번째 열이기 때문에 5가 표시됩니다. 이 함수는 인수를 넣지 않으면 자신이 위치한 셀의 열 번호를 표시합니다. 인수를 넣지 않은 이 함수의 위치가 B2 즉 2번째 열이므로 2가 표시됩니다. 2016. 5. 21.
엑셀 함수 COMBIN 주어진 개체 수로 만들 수 있는 조합의 수를 구해주는 COMBIN 함수입니다. 이 함수는 특정한 값을 입력한 숫자로 묶어서 만들 수 있는 조합의 수를 구해줍니다. 예를 들어 위의 예시에서 들어있는 숫자 3개가 0과 1과 2라고 친다면 A 열은 3개의 숫자를 3개씩 짝지어서 나올 수 있는 조합의 수는 1개라는 뜻입니다. 0, 1, 2 위와 같이 3개로 짝지어버리면 다른 숫자를 섞은 조합이 나올 여지가 없기 때문에 1개입니다. 다시 B 열을 예시로가서 2개로 짝지을 수 있는 조합의 수를 찾아봅시다. 0, 1 0, 2 1, 2 위와 같은 조합으로 3가지가 나올 수 있다는 뜻입니다. C열도 마찬가지로 3개의 숫자를 1개씩 조합했을때를 가정해보면 0 1 2 이렇게 3개가 됩니다. 2016. 5. 18.
엑셀 함수 CHOOSE 인수 중 하나를 골라주는 CHOOSE 함수입니다. 이 함수는 나열된 인수 목록 중 하나를 나타내줍니다. 처음 들어가는 숫자는 몇 번째 인수를 선택할지 입니다. 위의 예시에선 1을 입력하고 B5부터 F5까지의 영역을 선택했습니다. 1을 입력했으니 첫 번째 셀인 B5 의 값인 98을 나타냅니다. 여기선 5를 입력하고 B5, C5, D5, E5, F5 다섯 개의 셀을 선택했습니다. 5를 입력했으니 다섯번째에 있는 F5 의 값인 63을 나타냅니다. 2016. 5. 18.
엑셀 함수 BIN2OCT 2진수를 8진수로 변환해주는 BIN2OCT 함수입니다. 이 함수는 2진법으로 쓰인 숫자를 8진법으로 나타내줍니다. 좌측이 2진수 우측이 8진수입니다. 2016. 5. 15.
반응형